2025/07/28 2

52주 최고가에 집착하면 안 되는 이유: 앵커링 효과

투자를 하다 보면 52주 최고가라는 숫자에 자꾸 눈길이 갑니다."이 주식이 예전에 이 가격까지 갔었는데…"라는 생각은 곧 "언젠간 다시 그 가격까지 오르겠지?"라는 막연한 기대로 이어집니다. 하지만 주식 시장은 기대가 언제든지 희망 고문으로 바뀔 수 있는 곳입니다.오늘은 투자자의 판단을 흐리게 만드는 심리적 함정, 앵커링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---1. 앵커링 효과란 무엇인가?앵커링 효과는 우리가 어떤 숫자나 정보에 노출되었을 때, 이후 판단이 그 기준점(앵커)에 고정되는 심리 현상입니다.주식 투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앵커가 될 수 있습니다:52주 최고가자신이 매수한 평균 단가뉴스나 루머로 접한 목표가문제는 이 앵커가 지나치게 과거에 기반하거나, 현실과 동떨어진 정보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.--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7.28

수익률 반토막의 비밀 : 손실회피 편향

투자의 세계에서는 합리적인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고들 하지만, 정작 시장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건 인간의 감정입니다. 그중에서도 ‘손실회피 편향(Loss Aversion Bias)’은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판단력을 흐리며, 장기적으로 수익률을 크게 갉아먹는 심리적 함정입니다.1. 손실회피 편향이란 무엇인가?손실회피 편향은 인간이 동일한 크기의 이익보다 손실을 훨씬 더 고통스럽게 느끼는 심리적 경향입니다. 행동경제학자 다니엘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의 연구에 따르면, 우리는 이익보다 손실을 약 2배 더 강하게 인식합니다. 예를 들어, 100만 원의 이익보다 100만 원의 손실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2배 이상 크다는 것이죠.2. 투자에 끼치는 주요 영향2-1. 손실을 끌어안는 '팔지 못하는 병'손실회피 편향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7.28